본문 바로가기
코인정보

아인스타이늄 시세 분석 거래 종료 이유

by 임직이 2021. 6. 24.
반응형

아인스타이늄이 유의 공지가 나온이후 꾸준히 하락하다가 오늘 고점 70% 상승 까지 찍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차트를 분석하다보니 조금 이야기를 해볼만한 내용이 있다고 판단되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한다.

먼저 포스팅을 시작하기전 분명히 해두어야 할 것이 있다.

본 포스팅은 투자 목적이 아니며 차트분석 시세분석을 목적으로 시나리오 매매를 추측하는 포스팅이다.

즉 절대로 이 글을 믿고 투자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으며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으며 또한 여러가지 근거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며 , 투자습관을 올바르게 성장시키기 위해서 작성하는 글이다.

 


유의 지정 

아인스타이늄의 옆에 유의 마크가 생기게 되었다.

비트코인의 하락장에 여러 잡 알트 라고 불리는 코인들이

업비트 상장 후 검토 중 개선 의지가 없거나 공시 의지가 없는 종목들은 거래소 내 거래지원 종료를 하는 모습을 보인다

거래 종료에 목적은 이후 투자자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라고 하지만 사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상장전

꼼꼼하게 검토 후 거래소 상장을 추진했다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든다

 

 

 

 


유의 지정 사유

보통 유의 마크를 받는 종목들의 차트 패턴은 급락후 일정 지지선을 형성하며 급등,

만약 유의 마크가 사라질만한 근거를 공시한다면 급등하는 패턴을 보인다.

이에따라 유의빔 이라는 말이 떠돌정도로 많은 사람들의 투자법중 유의 마크가 달린 코인들에 관심을 갖는 경우도 있다.

아인스타이늄의 거래 지원 종료 사유는 위와 같다

정보 공개 및 커뮤니케이션의 부재, 기술 역량 검토 중 부실하다고 판단,

저평가 에 대한 내용을 담당 기업에 소명 요청을 하였으나 업비트에 돌아온 내용이 부실하거나

아예 회신을 받지 못하여 거래소

자체 평가후 지원 종료를 하는 것으로 확인 된다.

 

 

 


차트분석

 

보통 하락장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하방 삼각 수렴 패턴이다.

보통 검은색 선을 기준으로 차트를 확인하며 파란색 선과 빨간색 선은 추가 분석 지표이다.

검은색 선이 의미하는 바는 저점에 대한 기울기가 조금씩 줄어드는 것이다.

보통 차트는 투자자의 심리. 혹은 상승시키는 세력의 심리인데

일정 수준의 낮은 수준에서 매도 물량이 나오지 않는다면 박스권을 형성후 1차 급등 이후

조정 or 박스권 횡보 후 급락 시키거나 급등 시키거나 추세를 결정한다

위에 시나리오에 가장 큰 해답은 거래량,

패턴에 시기를 통해 알수 있으며 기본적인 하방 삼각 수렴 패턴의 개념은 이렇다.

 

 

 

 

 

아인스타이늄의 차트를 보면 뭔가 삼각 수렴이라기에도 어설프고 갑자기 물량을 받는 것도 어설프다고 생각한다

저점이 확실하게 형성 되지 않았으며 당일 급등 도 마찬가지로 이평선 아래서 발생한 패턴이어서

추세의 전환 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60봉을 확인해 보면 마찬가지로 급등이전의 기울기가 뭐 꾸준히 회복한 것도 아니고

일정수준의 박스권을 횡보 한 것도 아니고 상승여력이 딱히 없다고 생각한다.

조금은 조심스럽지만 흔히 주식 시장에서 불리는 하한가 따라잡기에 대한 설거지 차트 패턴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현재 그나마 10분 봉에서 급등이후 박스권을 형성하였는데 길이가 길어지고는 있지만 아직은 불안하다고 생각한다.

일종에 테스트 단계라고 생각한다. 

보통 박스권에서는 개미들의 물량을 테스트 하며 매집물량을 늘리고 상승 여력에 대한 테스트를 꾸준히 진행한다.

이후 어느정도 매집 물량이 형성되고 매수세가 꾸준히 붙을 만하다고 생각하면 급등 시켜버린다.

자연스럽게 개인 투자자들은 급등주에 관심이 가고 이 과정에서 세력들은 개인투자자에게 물량을 넘긴다

 

 

 

 

 

 

즉 이런 차트가 꾸준히 형성될수록 분석하지 않고 감으로 투자한다면 손해를 보기 쉽다

아인스타이늄의 앞으로에 행보에 대해서 개인적으로는 50~70 박스권 에서 꾸준히 급등 급락 시킬것같다

이후 혹시 유의 마크가 해제되고 다시 안정적인 거래소 내 운영이 된다면 급등할 여력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